crud2 [Nestjs] 3-3. 라우터 파라미터 라우트 파라미터는 사실 앞장에서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사용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주로 특정 데이터 불러오거나 삭제하거나 수정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http://localhost:3000/cats/123주소로 요청을 보낸다고 가정합시다. 123에 해당하는 부분은 당연히 데이터에 대한 ID입니다. 그렇기에 고정된 값이 아니라 데이터에 따라 유동적으로 할당해주어야 합니다. 즉, 라우팅하는 부분에서 동적인 경로를 구성하는 파라미터가 라우터 파라미터입니다. 라우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입니다. 첫번째 방법은 params 객체로 한번에 데이터를 받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라우팅 파라미터를 따로 따로 구분해서 받는 방법입니다. 정답은 없지만 파라미터를 구분해서 받으면 코드의 가독성이 올라가는.. 2022. 4. 2. [Nestjs] 3-2. CRUD 시스템 서버를 공부하다보면 CRUD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시게 될 것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이건 뭐지"라며 당황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알면 되니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CRUD는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 Read, Update, Delete를 묶어서 일컫는 말입니다. Create는 생성, Read는 데이터 읽기, Update는 데이터 갱신, Delete는 삭제를 뜻하는 기능입니다. 이름 기능 Create 생성 Read 읽기 Update 갱신 Delete 삭제 실제로 데코레이터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코드에서는 @Get() 데코레이터를 통해 브라우저에서 바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Res()를 통해 반환되는 값을 읽어보겠습니다. .. 2022. 4. 2. 이전 1 다음